기본적으로 타고난 감각이 있지 않다면 독학은 정말 힘듭니다.
배워도 감을 못 잡는 학생들이 대부분이기는 합니다.
음악 기초 독학 로드맵:
화성학, 작곡(미디), 통기타
세 가지 분야를 독학하고 싶으시다면,
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각 영역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.
1. 음악 기초 (화성학 포함)
작곡이나 기타 연주를 할 때 이론적인 배경이 있으면 훨씬 깊이 있는 음악을 만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.
* 추천 도서:
* 《재즈 화성학》 또는 《실용 화성학》 교재: 입문자용으로 쉽게 쓰인 책들이 많습니다. 처음부터 너무 어려운 책보다는 그림과 예시가 풍부한 교재를 선택하세요.
* 《시창청음》 교재: 음을 듣고 악보로 옮기거나, 악보를 보고 음으로 부르는 연습은 음악적 감각을 키우는 데 필수입니다. 화성학 책과 병행하면 좋습니다.
* 온라인 강의/유튜브:
* 유튜브 채널: "화성학 독학", "음악 이론 기초" 등으로 검색하면 무료 강의들이 많습니다. '뮤토리', '실용음악 입시연구소 겟썸' 등 유명 채널들의 기초 강좌를 참고해 보세요.
* K-MOOC, Coursera, Edx 등: 무료 혹은 유료로 제공되는 대학 강의들도 있습니다. 기본적인 음악 이론 강좌를 찾아보면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.
* 학습 포인트:
* 음정, 음계, 코드(화음)의 이해: 가장 기본입니다. 메이저/마이너 스케일, 트라이어드(3화음), 세븐스 코드(7화음) 등을 익히세요.
* 다이아토닉 코드(Diatoinc Chord): 어떤 스케일에서 파생되는 코드들을 말합니다. 곡의 분위기를 만드는 핵심이므로 꼭 이해해야 합니다.
* 코드 진행: 다양한 코드 진행을 직접 연주해보고 듣는 연습을 병행하면 좋습니다.
* 청음 연습: 들리는 음을 캐치하고 코드를 구별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세요. 앱(예: Functional Ear Trainer)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.
2. 작곡 (미디)
음악을 만드는 과정은 정말 재미있습니다. 요즘은 미디(MIDI) 프로그램을 통해 쉽게 시작할 수 있어요.
* DAW (Digital Audio Workstation) 프로그램 선택:
* 무료/입문용: GarageBand (맥/아이폰/아이패드 사용자), Cakewalk by BandLab (윈도우 사용자) - 무료임에도 훌륭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
* 유료/전문가용: Logic Pro X (맥), Ableton Live, Cubase, FL Studio, Studio One, Pro Tools - 처음부터 유료를 구매하기보다 무료 프로그램으로 시작하며 익숙해지면 고려해 보세요.
* 추천 학습 자료:
* DAW별 공식 튜토리얼 또는 유튜브 강좌: 사용하는 DAW의 기본적인 사용법(트랙 만들기, 악기 불러오기, 노트 입력, 녹음 등)을 익히는 것이 우선입니다. 유튜브에 "DAW 이름 튜토리얼" 또는 "미디 작곡 기초"로 검색하면 수많은 자료가 나옵니다.
* 작곡 관련 유튜브 채널: 기본적인 작곡 아이디어, 멜로디/코드 메이킹 팁 등을 알려주는 채널들을 참고하세요.
* 학습 포인트:
* 시퀀싱 기본 익히기: 미디 노트를 입력하고, 가상 악기를 연결하여 소리를 내는 방법을 익히세요.
* 리듬/멜로디/화음 만들기: 배운 화성학 지식을 활용하여 간단한 멜로디와 코드 진행을 만들어보고, 드럼 리듬을 입혀보세요.
* 카피(Copy) 연습: 좋아하는 곡의 멜로디나 리듬을 미디로 똑같이 만들어보는 연습은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.
* 꾸준히 시도하기: 작은 아이디어라도 미디 프로그램으로 구현해 보는 습관을 들이세요. 처음부터 완벽하려 하지 말고, 일단 끝까지 만들어보는 경험이 중요합니다.
3. 통기타
통기타는 즉흥 연주나 노래 반주에 가장 효율적인 악기 중 하나입니다. 독학으로도 충분히 실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.
* 추천 학습 자료:
* 유튜브 채널: "통기타 독학", "통기타 기초" 등으로 검색하면 정말 많은 채널이 나옵니다. '정성하', '핑거스타일 기타리스트 이강우', '울림통TV' 등 유명 채널에서 기초 레슨을 참고하세요.
* 온라인 카페/커뮤니티: 통기타 동호회 카페에 가입하여 질문하고 정보를 얻는 것도 좋습니다.
* 학습 포인트:
* 기본자세 및 기타 관리: 올바른 자세는 연주력 향상과 부상 방지에 중요합니다. 기타 관리법(줄 교체, 습도 관리 등)도 익혀두세요.
* 코드 운지법: 가장 기본적이고 많이 쓰이는 코드들(C, G, D, Em, Am 등)부터 정확하게 운지하는 연습을 하세요. 코드표를 보면서 운지하고 소리를 확인하세요.
* 스트로크 및 아르페지오: 코드만 잡는다고 끝이 아닙니다. 기본적인 스트로크(리듬 연주) 패턴과 아르페지오(분산 화음 연주) 패턴을 익히세요.
* 운지 변경 연습: 코드와 코드 사이를 부드럽고 빠르게 이동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. 메트로놈을 활용하여 박자에 맞춰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.
* 쉬운 곡 카피: 좋아하는 노래 중 쉬운 코드로 된 곡부터 골라 직접 연주하며 따라 부르는 연습을 해보세요.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음악 독학을 위한 여러 가지 조언
1. 목표 설정 & 계획 세우기
* 구체적인 목표: "이번 달까지 C코드를 마스터하고, 쉬운 동요 한 곡을 기타로 연주할 수 있게 된다", "화성학 책 챕터 3까지 이해한다"처럼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면 동기 부여에 좋습니다.
* 작은 성공 경험 쌓기: 거창한 목표보다는 달성 가능한 작은 목표들을 세우고 하나씩 이뤄나가면서 재미를 붙여나가세요.
2. 꾸준함이 핵심!
* 매일 조금씩: 하루에 30분이라도 꾸준히 하는 것이 주말에 몰아서 몇 시간 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입니다.
* 루틴 만들기: 특정 시간을 정해 음악 공부/연습 시간을 확보하세요.
3. 즐기는 것이 가장 중요
* 흥미 위주로: 처음에는 정석대로만 하기보다, 지금 당장 흥미가 가는 부분(예: 좋아하는 곡 카피, 미디로 비트 만들기)부터 시작해 보세요. 재미가 있어야 꾸준히 할 수 있습니다.
* 과정 자체를 즐기기: 완벽한 결과물에 집착하기보다, 새로운 것을 배우고 알아가는 과정 자체에서 즐거움을 찾으세요.
4. 메타인지 활용 & 유연함
* 나의 학습 스타일 파악: 나는 책으로 공부하는 게 좋은지, 영상 강의가 좋은지, 직접 만들어보면서 배우는 게 빠른지 스스로 파악하고 학습 방법을 조절하세요.
* 좌절하지 않기: 어려운 부분에 부딪히거나 정체기가 올 수 있습니다. 당연한 과정이니 너무 자책하지 말고 잠시 쉬어가거나 다른 분야를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.
* 피드백 받기 (선택 사항): 독학이 어렵다면, 아주 짧게라도 원데이 클래스나 단기 레슨을 받아 전문가의 피드백을 한 번쯤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. 혼자서는 놓치기 쉬운 부분을 잡을 수 있어요.
5. 결과물 만들기 & 공유하기
* 작은 결과물 만들기: 기타로 연주한 곡을 녹음해 보거나, 미디로 만든 짧은 음악을 완성해 보세요.
* 공유: SNS에 올리거나 친구에게 들려주는 것도 좋은 동기 부여가 됩니다. (필수는 아님)